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예비 신입생
  • 공지사항
  • 오시는 길
  • 교육과정
  • 전화번호
  • 장학금 제도
  • 교실소개
  • 입학관련 FAQ
재학생
  • 공지사항
  • 오시는 길
  • 전화번호
  • 장학금 제도
  • 교실소개
교직원
  • 공지사항
  • 연구활동
  • 사회봉사
  • 전화번호
  • 발전기금
  • 교실소개

  • 양형철 교수, 의과대학 정은재 교수 공동연구팀 - 방사선 치료 부작용의 섬유화 억제를 위한 포스파티딜세린 기반 나노입자의 개발
  • 부분 PEG화된 포스파티딜세린 리포좀의 대식세포 표적화를 통한 방사선 유도 식도 섬유화 완화 [연구필요성]   방사선 치료는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법으로 근치적 치료 혹은 다른 항암치료와 함께 보조 치료를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는 정상세포와 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식도암이나 두경부암 환자는 조직의 섬유화로 인해 삼킴곤란과 같은 기능 손상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화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예방법 혹은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성과/기대효과]   본 연구는 방사선 치료의 후유증으로 유발되는 조직 섬유화를 억제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한다. 대식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본 접근법은 기존 섬유화 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며, 방사선 치료에 따른 합병증뿐만 아니라 대식세포가 관련된 체내 섬유화에 기인한 다양한 질환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   방사선 치료는 암 치료의 핵심적인 방법 중 하나로, 수술이나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종양의 크기를 줄이거나 완전히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방사선은 암세포뿐 아니라 주변의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하장애, 구강건조증, 폐 섬유화, 장기 기능저하 등 다양한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조직 섬유화에 의해 영구적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양형철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은재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대식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기반 나노입자를 개발하였다. 연구진은 포스파티딜세린과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구성된 리포좀 형태의 나노입자를 설계하여,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항염증 및 항섬유화 효과를 동시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개발된 나노입자는 특히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식도 섬유화 동물모델에서 섬유화 진행을 뚜렷하게 억제하는 효능을 입증하였으며, 조직 손상으로 인한 만성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 선경미 연구교수와 서울대병원 김인걸 연구교수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하였으며,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및 보건복지부 재생의료 임상연구기반조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Bioactive Materials (IF 20.3) 온라인판에‘Mitigation of radiation-induced esophageal fibrosis by macrophage-targeted phosphatidylserine-containing liposomes with partial PEGylation’제목으로 이달 게재되었다. 서울대 연구진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방사선치료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임상적 응용 가능성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연구결과] Mitigation of radiation-induced esophageal fibrosis by macrophage-targeted phosphatidylserine-containing liposomes with partial PEGylation Gyeung Mi Seon, In Gul Kim, Sun Woo Um, Eun-Jae Chung, Hyeong-Cheol Yang (Bioactive Materials,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452199X2500249X)   방사선 유도 섬유화(Radiation-induced fibrosis, RIF)는 방사선 치료 후 흔히 발생하는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이다. 대식세포는 염증 반응의 주요 조절자로서, 섬유화 예방을 위한 핵심 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RIF를 완화하기 위한 PEG화된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리포좀(PEG-PSLs)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PEG-PSLs는 골수 유래 대식세포(BMDMs)의 극성화를 조절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섬유화 관련 지표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효과는 특정 PEG화 비율에서 관찰되었으며, 1–1.5 mol%의 PEG 농도에서 가장 뚜렷한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IL-4로 유도된 JAK-STAT 신호 전달 경로 분석 결과, PEG-PSLs에 의한 억제는 JAK-1 인산화 단계 또는 그 이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관 내 섬유화 모델에서는 BMDMs와의 공동 배양 시 PEG-PSLs가 섬유아세포의 근섬유아세포 전환 및 상피-간엽 전환을 억제하였다. 또한, 식도 방사선 조사 랫드 모델을 활용한 생체 내 연구에서는 PEG-PSLs가 섬유화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조직 구조를 보존하며, 근육 재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 PEG화된 포스파티딜세린 리포좀이 방사선 치료 후 식도 섬유화를 완화할 수 있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림설명]     ○ 서울대 대표 홈페이지> 연구> 연구성과 ​​

  • 구기태 교수,『Periodontology 2000』부편집장 선정… 아시아 치의학계 위상 제고
  •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기태 교수(치주과)가 세계적으로 저명한 치의학 학술지『Periodontology 2000』의 부편집장(Associate Editor)으로 선정되었다. □『Periodontology 2000』은 2023년 발표된 저널 인용 보고서(Journal Citation Reports) 기준으로 Impact Factor 17.5를 기록, SCIE에 등재된 치의학 분야 저널 가운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학술지다. 특히 치주학 영역에서의 영향력과 권위를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 구기태 교수는 이미 2024년 12월, 또 다른 국제 저널인『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의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게 되며 국제 학술 편집진으로서의 입지를 굳혀왔다. 이번 부편집장 선정은 그의 연구력과 국제적 학문 활동이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방증이다. □ 구 교수는 "동양인으로서 이런 자리에 오르기까지 결코 쉬운 여정이 아니었다"며, "이제는 세계 학계 무대에서 한국 치의학의 역량을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후배 세대에게 더 많은 기회와 공정한 평가가 돌아갈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그동안 보수적인 성향을 지녀온 치의학 저널 편집계에서는 동양인의 참여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최근에는 중국의 Hongchang Lai 교수가『Clinical Oral Implants Research』의 부편집장으로 임명된 사례가 있었으며, 이번 구 교수의 부편집장 위촉 또한 아시아 출신 연구자들의 활약을 상징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 이번 성과는 국내 치의학계가 국제 무대에서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해가는 흐름 속에서 이룬 의미 있는 진전으로, 후속 세대에게도 글로벌 진출의 길을 넓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구기태 교수

  • 양형철 교수, 제18회 의료기기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
  • 의료기기 산업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 인정받아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양형철 교수는 국내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와 의료기기 관련 정책 수립 및 제도 개선에 기여한 공로로 5월 29일(목)‘제18회 의료기기의 날’기념식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 2003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교수로 임명된 양형철 교수는 치과생체재료과학교실 주임교수 등을 지내며 치과생체재료학 분야 전문 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하여 왔고, 현재 서울대학교 치학연구소장으로서 치의학분야 연구역량기반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대한치과재료학회 회장, 한국생체재료학회 부회장을 역임하면서 치과재료분야의 발전과 국제협력 증진에 힘써왔고, 2005년부터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재료기기평가센터의 시험·검사책임자로서 치과재료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현재는 동 센터의 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양형철 교수는 “이번 수상은 의료기기 분야의 발전을 위해 함께 애써온 모든 분들과의 공동 노력의 결실이라 생각하며, 더욱 뜻깊으면서도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라며, “앞으로도 교육, 연구, 정책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의료기기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도약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 양형철 교수, 대통령 표창 수상 ○ 서울대 대표 홈페이지> 서울대 소식>보도자료

  • 치의학대학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 보건복지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평가·인증 획득 현판식 개최
  •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이하 ‘치의학대학원 IRB’)는 보건복지부로부터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이하‘IRB’) 평가·인증기관에 선정되어 2025년 5월 27일 현판식을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는 위원회 위원 및 대학원 주요 보직자, 실무 담당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관의 윤리적 연구문화 정착을 위한 의미 있는 성과를 함께 나누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관 내 설치된 독립적인 기구로, 연구대상자의 권리, 안전,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연구의 윤리적·과학적 타당성을 심의한다. 보건복지부는 기관 내 윤리적 연구 환경 조성과 위원회 운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각 기관의 IRB 구성과 운영 실적을 정기적으로 평가·인증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IRB는 지난해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기관으로 선정되어 서류평가·현장평가·종합평가 총 3단계를 거쳐 2025년 4월, 최종 인증을 획득하였다. 인증 유효 기간은 3년으로 2028년 4월 29일까지 유효하다. 치의학대학원 IRB는 총 40개 인증 항목 중 39개 항목에서 적합 판정을 받았고, 1개 항목은 ‘해당 사항 없음’으로 처리되어 최종 인증을 획득하였다.  "특히 타 기관 대비 기관장의 전폭적인 지원과 외부위원의 활발한 참여 등을 높게 평가받았다. 이번 인증은 단순한 자격 획득을 넘어, 치의학대학원 IRB의 운영 수준과 연구대상자 보호 체계가 국가 기준에 부합하는 제도적 신뢰성과 윤리적 전문성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IRB는 국내 유일하게 ‘치과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로 치의학 분야 연구의 특성을 깊이 반영하고 있다.    □ 박영석 치의학대학원장은 “치의학대학원 IRB 위원장 및 위원 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우리 대학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가 IRB 평가·인증을 통하여 새롭게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 되었으며, 앞으로도 연구대상자 보호 및 윤리적 연구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 조재진 치의학대학원 IRB 위원장은 “이번 인증은 치의학대학원 IRB가 그간 지향해 온 공정하고 일관된 심의 운영과 연구대상자 보호에 대한 책임감이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연구자와의 건설적 소통을 통해 윤리적 연구문화를 선도하는 위원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 아울러 연구윤리심의위원회에 발전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보내주신 박영석 원장님 비롯하여 모든 위원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 송영하 치의학대학원 IRB 전문간사는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치의학 분야의 학문적 특성과 연구현장의 실제 맥락을 고려하여, 기존의 표준화된 심의기준을 기반으로, 치의학 분야의 특성을 정교하게 해석·적용할 수 있는 운영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이는 심의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전제로 하되, 다양한 치의학 연구 유형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정합성과 타당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IRB는 앞으로도 인증기관으로서의 책무를 다하며, 윤리적 연구 환경 조성과 연구대상자 보호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인증은 국내를 넘어 국제 수준의 연구윤리 거버넌스로 도약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 현판식 참석자 기념촬영

  • 조재진 교수, 서울대학교 후학 양성을 위한 장학금 1억 원 쾌척
  • 유홍림 총장과 조재진 교수(우)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생화학교실 조재진(수의학 학사 87-91) 교수가 약 1억 원의 장학금을 서울대학교에 쾌척하며, 미래 인재 양성에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이에 서울대학교는 2025년 5월 16일(금) 관악캠퍼스 행정관에서 주요 교내외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감사패 전달식을 개최했다. □ 조재진 교수는 “미래 산업을 위해서는 기술 개발만큼이나 인재 양성이 중요하다고 믿는다.”라며, “앞으로도 대한민국 바이오산업 발전과 후학 양성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기부의 소회를 밝혔다. □ 유홍림 총장은 “학문적 탁월함과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바이오산업의 경계를 확장하고 계신 조재진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린다.”라며, “연구의 결실을 사회와 나누는 이러한 기부는 우리 서울대가 추구하는 공익 실현 정신을 실천하는 모범 사례”라고 말했다.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친 조재진 교수는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 의과대학,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에서 연구 활동을 거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를 역임했다. 2003년부터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치의재생생명공학, 줄기세포분화 및 이식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2014년 서울대학교 벤처로 ‘셀인셀즈(Cell in Cells)’를 설립하여 바이오 재생치료 분야의 기술 상용화에 도전했다. 셀인셀즈는 국내 최초로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 투약을 완료하여, 임상 1상을 종료하고, 임상 2상 IND 신청을 하였다. 순수 국내 기술로 확보한 원천기술을 통해 피부 재생, 연골 결손/골관절염, 회전근개파열, 근위축증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 치료에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 서울대 대표 홈페이지> 서울대 소식>뉴스

10

2025.07

  • 00 : 00 ~ 00 : 00
  • 졸업실적심사 1차(OSCE/CPX)

10

2025.07

  • 00 : 00 ~ 00 : 00
  • 실적심사 문제 이의제기

14

2025.07

  • 00 : 00 ~ 00 : 00
  • 전문대학원 4학년 sub-internship 1차 시작

21

2025.07

  • 00 : 00 ~ 00 : 00
  • 전문대학원 4학년 sub-internship 2차 시작

28

2025.07

  • 00 : 00 ~ 00 : 00
  • 전문대학원 4학년 sub-internship 3차 시작
  • 연구활동
  • Research
치과질환의 중개연구 능력과 생명과학과 공학을 융합한 창의적 응용연구 능력을 갖춘 세계적 수준의 전문연구인력을 양성함으로써 국가치과의료 비용의 지출을 감소시키고, 치과의료 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미래기반창의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241
  • 연구비 수주 현황
  • 361
  • 특허 등록 현황
  • 181(51)
  • SCI(E) 논문 현황